정우람의 패스트볼은 시속 몇 km처럼 느껴질까?

[야구공작소 박광영]

“정우람 공은 140km가 150km 같은 느낌이다. 그냥 140km가 아니다.”(한용덕 감독)
“구속이 시속 138 ~ 140km가 나오는데, 이 공이 150km로 보인다.”(최재훈 선수)

정우람(한화 이글스)의 빠른 공에 대한 평가다. 실제로 정우람의 패스트볼은 좀처럼 140km/h 초반을 넘지 못한다. 그러나 이런 그의 공에 타자들은 얼어붙거나 방망이를 연신 헛돌리기 일쑤다. 이를 바탕으로 그는 6월 6일까지 24.0이닝 동안 단 1.13의 평균자책점과 20세이브를 기록하고 있다.

정우람이 던지는 빠르지 않지만, 위력적인 공이 최근 소속팀인 한화의 고공행진과 맞물려 야구팬들의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어떤 이들은 그가 공을 최대한 앞으로 끌고 나와 던진다는 점을 원인으로 들었고, 또 다른 누군가는 그의 빠른 공이 덜 가라앉는다는 점을 근거로 내세웠다. 또한, 일반적인 마무리 보다 뛰어난 제구력과 패스트볼보다 20km/h가량 느린 서클체인지업 역시 정우람의 패스트볼이 느리지만 위력적인 비결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런 설명에도 불구하고 아직 궁금한 점이 남았다. 정우람의 공이 위력적인 것에는 여러 이유가 있을 수 있지만, 그래서 대체 그의 공은 시속 몇 km로 느껴지는 것일까?

구속에 비해 위력적인 패스트볼을 지녔다고 평가 받는 이는 비단 정우람뿐만이 아니다. 우리는 중계방송을 통해 “공이 빠르지 않지만, 타석에서 실제로 보면 묵직하다”든가, “공이 빠르지만 가볍다”는 말을 종종 듣는다. 그렇다면 대체 그들의 공이 어느 정도로 느껴지기에 저런 말을 하는 것일까?

 

실제 구속과 환산구속

‘구위’, 즉 공의 위력은 어떻게 측정할 수 있을까? 세이버매트릭션들이 찾아낸 방법은 ‘헛스윙률’이다. 헛스윙률은 적은 표본으로도 ‘안정화’되며, 연도별 상관관계 또한 높게 나타난다. 직관적으로도 타자가 자신 있게 배트를 휘둘렀지만, 공에 스치지도 못했다면 그것이 공의 위력이라고 볼 수 있다. 그렇다면 그 수치를 이용해 우리에게 익숙한 구속의 스케일로 환산해볼 수도 있지 않을까?

아래 표는 KBO리그의 투수들이 기록한 헛스윙률을 바탕으로 구속을 나타낸 것이다. 대상은 2017년 시즌에 한해 200개 이상의 패스트볼을 던진 투수를 기준으로 했다. 환산방식은 다음과 같다. 어느 투수의 패스트볼이 8%의 헛스윙률을 기록했다면, 이 투수의 구위는 상위 20%에 해당한다. 작년 타자들이 상대한 패스트볼 가운데 상위 20%에 해당하는 구속은 144km/h다. 이 두 사실을 결합하면, 이 투수의 공은(실제 구속과는 별개로) 144km/h와 같이 느껴졌으리라 추정할 수 있다. 확률은 감마분포에 적합시켰다.

 

<표1> 2017시즌 환산구속 상위 20명

 

상단에 있는 선수들은 우리가 익히 “위력적인 패스트볼”을 던진다고 알고 있던 명단과 일치한다. 그렇다면 스피드건에 찍히는 실제 구속과 구위가 가장 차이 나는 선수는 누구일까? 아래는 실제 구속과 환산구속의 차이 순서대로 표를 재정렬한 것이다.

 

<표2> 2017시즌 환산구속-실제구속 차 상위 20명

 

<표2>에서 높은 평가를 받은 다른 투수들 또한 주목할 만하다. 지난해 박희수는 감소한 구속을 부진의 원인으로 지적받았다. 그러나 최소한 그의 투심은 건재했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올 시즌에는 좋은 출발을 하고 있다(ERA 1.35). 독특한 투구폼과 함께 가장 높은 타점에서 공을 던지는 박정진 또한 측정된 구속에 비해 타자들이 훨씬 어려워하는 패스트볼을 던졌다. 이 밖에도 차이가 크게 발생한 투수 가운데에는 사이드암이나 언더핸드 투수들도 더러 있다.

하지만 두 가지 표에서 가장 상단에 위치해 있으며 주목해야 할 선수는 다름 아닌 정우람이다. 작년을 기준으로 평균 구속 141km/h에 불과했던 그의 패스트볼은 독보적인 15%대의 헛스윙률(2위 12.5% 신재웅)을 기록하며 현장에서의 평가가 전혀 틀리지 않았음을 증명했다. 그의 공은 153km/h짜리 강속구에 필적했는데, 이는 그의 실제 구속보다 무려 12km 가까이 빠른 것이다.

 

보완할 점

공의 구위를 수치화하려는 시도는 이전에도 여러 차례 있었지만, (패스트볼에 한해) 평균 구속 스케일로 환산하는 시도는 거의 없었다. 어느 분야에서든지 첫 시도가 대개 그렇듯이, ‘환산구속’ 또한 완벽하지 않으며 보완이 필요한 지점이 여럿 존재한다. 우선 불펜 투수에 비해 선발 투수들이 손해를 볼 것이란 추측을 해볼 수 있다. 선발은 많은 이닝을 소화해야 하므로 모든 공을 전력투구할 수 없다.

한편, 빠른 공을 갖고 있더라도 이를 뒷받침해줄 느린 변화구가 없는 투수 또한 저평가된다. 타자가 빠른 공 타이밍에만 맞춘다면 아무리 빠른 공일지라도 커트할 수 있기 때문이다. 같은 구속이라도 타자가 까다로워하는 곳으로 공을 던지는 투수에 비해 그렇지 못한 투수 역시 헛스윙을 유도하지 못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헛스윙을 유도하는 대신 빗맞은 타구를 만들어내는 땅볼 형 투수도 그 가치를 온전히 평가받지 못할 가능성이 있다. 이런 점들을 보완해줄 여러 이들의 의견을 기다리는 이유다.

그러나 한 가지 확실한 것은 있다. 정우람의 공에 대해 현장에서의 평가는 허풍이나 과장이 아니며, 정우람의 빠른 공에 대해 (어떤 이유에서든) 타자들은 실제로 150km이상의 무언가를 체감하고 있다는 것이다.

 

기록 출처: STATIZ

 

에디터=야구공작소 이청아

ⓒ야구공작소. 출처 표기 없는 무단 전재 및 재배포를 금합니다. 상업적 사용은 별도 문의 바랍니다.

Be the first to comment

댓글 남기기